전기차 충전기는 다 같은 충전기가 아니다

전기차 충전기는 다 같은 충전기가 아니다





전기차 충전소 창업 시,
“어떤 충전기를 설치할까?”는 수익성과 안정성에 직결되는 결정입니다.

단가가 싸다고 아무 제품이나 골랐다가
설치 후 고장 반복, 고객 불만, 보조금 반납 등
운영 리스크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EV 충전기 구매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
기술 사양, 표준, 성능, 실무 기준을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

⚡ 1. 급속 vs 완속, 선택 기준

✅ 완속 충전기

  • 전압: 220V 단상

  • 충전 시간: 4~12시간

  • 설치 장소: 아파트, 오피스, 숙박업소, 공공기관

  • 적합 대상: 장기 주차 가능 공간

✅ 급속 충전기

  • 전압: 380V 삼상

  • 충전 시간: 20분~1시간

  • 설치 장소: 고속도로, 대형 마트, 카페 주차장

  • 적합 대상: 회전율 중시, 유동인구 많은 지역

📌 완속은 저비용 장기 주차용, 급속은 고비용 고회전용
장소·고객 특성 따라 병행 설치 필요


🔌 2. 출력 사양 – kW 단위가 핵심

출력(kW) 충전 시간 예시 (배터리 60kWh 기준) 설명
7kW (완속) 약 9시간 저속 완속, 아파트·사무실용
11~22kW 약 3~6시간 중속 완속, 상업공간에 적합
50kW (급속) 약 1~1.5시간 중급급속, 일반급속 기준
100~150kW 약 30~45분 고속급속, 대형마트·휴게소 적합
200~350kW 약 20분 이내 초고속급속, E-pit급 충전소 전용

📌 보조금은 출력에 따라 차등 지원 → 선택 시 예산 고려 필수


🔁 3. 통신 프로토콜 – OCPP 필수

OCPP란?

  • Open Charge Point Protocol

  • 충전기 ↔ 서버(CMS) 간 통신 표준

버전 특징
1.5 구형 모델에 사용, 현재는 비권장
1.6J 기본 사용권장, 대부분 CMS 호환
2.0.1 실시간 인증·결제 연동 가능, 고급 기능 지원

✅ 반드시 “OCPP 1.6 이상 지원 여부” 확인
→ CMS 연동 및 고장 모니터링 필수 기능


🔐 4. 인증과 안전 기준

인증 항목 내용
KC 인증 전자파/전기안전 국가 인증
IP 등급 방수·방진 등급 (IP54 이상 권장)
KS 인증 일부 공공기관 납품 시 필수
충전기 보조금 인증 한국에너지공단 등록 제품만 국비 보조금 지급 대상

📌 IP54 이상 + KC 필수 → 야외 운영 안정성 보장


📱 5. 사용자 편의 기능 체크리스트

  • 디스플레이 유무: 상태 표시, 메시지 출력 가능

  • 카드/QR 인증: 비회원 사용자 대응

  • 결제 연동: 신용카드, 페이 앱 등

  • 예약 기능: 고객 대기 불편 해소

  • 다국어 지원: 관광지/공공장소에 필수

✅ 요즘 사용자는 “앱 없이도 간단 충전 가능한 시스템” 선호


🧠 6. 운영자를 위한 관리 기능

  • 원격 제어 (CMS 연동)

  • 고장 알림 및 통계 리포트

  • 펌웨어 OTA 업데이트

  • 이용 로그 저장

  • 사용자 CS 이력 확인

📌 CMS 연동이 가능한 충전기가 아니면
운영 효율성과 수익 관리가 거의 불가능


🧾 7. 실무자가 말하는 충전기 선택 노하우

“충전기는 초기 설치비보다 유지보수가 더 중요합니다.”

  • AS 계약 조건 확인: 초기 대응 시간, 부품 재고 보유 여부

  • 부품 호환성: 케이블, 커넥터 등 규격 확인

  • 사후 업그레이드 가능성: OTA 지원 여부

  • 충전 케이블 길이: 최소 5m 이상 권장

  • 설치 후 공간 설계 고려: 케이블 걸림, 차량 접근성 등


📊 8. 브랜드별 사양 비교 예시

브랜드 출력 종류 OCPP 지원 CMS 연동 OTA 가능 주요 활용 공간
현대 E-pit 350kW 급속 2.0 지원 가능 가능 고속도로, 대형몰
시그넷EV 50~150kW 1.6J 이상 가능 가능 공공 급속충전소
스타코프 7~100kW 1.6J 가능 일부 가능 상가, 민간 충전소
대영채비 7~50kW 1.6J 가능 제한적 지자체, 공공기관
비긴스 EV 7~11kW 1.5~1.6 제한적 불가능 주차장, 소형업체

🔍 9. 잘못된 충전기 선택의 후폭풍

  • 고장 반복 → 고객 불만 → 이용률 급감

  • CMS 미지원 → 요금 조정·정산 어려움

  • OCPP 미지원 → 플랫폼 등록 불가

  • 비표준 케이블 → 전기차 호환 문제

📌 충전기 교체·철거 비용은 최소 수백만 원
초기 사양 체크가 가장 중요


✅ 결론: “기술 스펙표” 제대로 읽는 것이 이득

충전기 선택 기준 체크리스트:

✅ [ ] 급속 vs 완속 목적 명확히 구분
✅ [ ] OCPP 1.6 이상 지원 여부
✅ [ ] CMS 연동 가능 여부
✅ [ ] OTA 업데이트 가능 여부
✅ [ ] 방수/방진(IP 등급) 확인
✅ [ ] 보조금 대상 등록 제품 여부
✅ [ ] AS 및 기술지원 계약 조건


🔗 다음 블로그 주제 관련 링크


다음 이전